Log InSign UpMy Page
Child Care Tips
자주 삐치는 우리 아이, 왜 그러는 걸까요?
Views 0
Share with your loved ones.
Copy URL
아이가 자주 삐치면 엄마아빠는 조금 당황스럽기도 하지요.

자주 삐치는 우리 아이, 아이만의 독특한 성향일 수 있지요.

하지만 엄마아빠 눈에 삐치는 행동이 자주 보인다면 혹시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는 것은 당연하답니다.

어른들도 어떠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삐치는 행동으로 미쳐 표현하지 못했던 감정들을 표출하곤 하지요.

특히나 감정 표현이 서투른 아이는 삐치는 행동으로 자신의 수용되지 않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이 같은 행동들을 반복하기도 한답니다. 

자주 삐치는 우리 아이, 왜 그러는 걸까요?

1. 아이의 성향과 기질이 원인이 될 수 있어요

부모의 기준에서 별것 아닌 자극이 아이가 체감하는 스트레스는 크기 때문에 부모의 기준보다는 아이의 기준에서 먼저 바라봐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2. 부모의 자극이 부족할 때에도 나타날 수 있어요

아이가 느끼기에 부모가 자신에게 보여주는 관심과 자극이 부족하다고 느끼면 관심을 받기 위해 삐치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평소에 아이가 만족할 때 까지 충분히 놀아주는 시간을 꼭 가지면 좋아요

3. 또 다른 자기표현과 감정 표현의 방법이에요

아직 감정 표현이 미숙한 아이이기에, 불만족스러운 상황과 불편한 감정에 대해 삐치는 행동으로 자신을 표현하기도 한답니다.

아이가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속상할 때 다른 식의 표현을 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주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아이가 모든 생각을 정확하게 언어적으로 표현을 하기 힘들 수 있지요. 하지만, 아이는 빠르게 자라나기 때문에 점차 이유를 스스로 이야기해볼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습니다. 

"엄마는 우리 차이가, 속상할 때 엄마한테 속상해!라고 말하면서, 왜 속상한지 이야기 해주면 좋겠어요"

아이를 키우며 어떠한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꼭 필요한 태도는 바로 아이의 시각과 마음에서 상황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부모가 생각하는 기준 보다 아이의 기준에서 먼저 생각해본다면 문제 행동에 대한 원인과 해결 방법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을 기억해주세요.

Please Note
All content on Chai's Play is for all caregivers of children.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can vary from fathers, mothers, grandparents, and babysitters, depending on each family's situation. However, it is noted as 'Mom' for convenience in the content. This is not to imply that mothers should primarily raise children. Please understand this context.
Share with your loved ones.
Copy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