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 InSign UpMy Page
Parent Stories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으로 돌려놓기
Views 0
Share with your loved ones.
Copy URL
나도 모르게 부정적인 생각이 후벼파는 날이 있습니다. 내 주변 소중한 사람이 예상치 못하게 부정적인 말을 던질 때가 있지요. 어른도 아이도 예외가 아닙니다.

"하, 정말 짜증 나!"
"엄마 싫어!" "아빠 싫어!"
"요즘 회사 일이 하나도 풀리는 게 없어"
"난 정말 00를 못하나 봐"

부정적인 생각을 계속하면 내 손해라는 걸 잘 알기에 어떻게든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꾸어보려 노력하지만, 잘되지 않습니다.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은 억누르면 억누를수록 더 튀어 오르거든요. 이럴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우리는 상황을 '뭉뚱그려' 이야기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문제가 있는 건 부분인데, 전체가 문제인 것처럼 이야기하지요. 그렇기 때문에 내 부정적인 생각을 작은 부분으로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시 1>

나는 어떤 상황으로 인해 짜증 나 있습니다.

"하 정말 짜증 나"

👉 나 자신에게 모든 게 다 짜증 난다고 이야기하고 있음. 사실은 짜증 나는 건 내 삶의 작은 부분이 짜증 나는 것인데, 마음속 언어표현이 부적절함

그렇다면, 왜, 무엇이, 어떻게 짜증이 나는지 관찰해야 합니다.

✅️ 좀 더 명징한 표현은

1) '내가 지금 00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해서 속상하구나'
2) '내 생각대로 아이가 (혹은 배우자가) 행동하지 않아 마음이 상했구나' 이지요.


이렇게 구체화 한 내 마음을 바라본다면 상황에 대한 이해와 해결책이 떠오릅니다.

1-a) 내가 이 상황에서 컨트롤할 수 없는 것, 있는 것은 뭐지? 내가 할 수 있는 것만 생각하자.
2-a) 왜 아이는 내가 생각한 대로 행동하지 않을까? 어떤 마음인 걸까? 아이도 00가 재밌으니까 빨리 움직여지지 않는 거겠지. 일단 지금은 부딪치지 말고, 어떻게 도와줄지 생각해 보자.

✅️ 핵심은 내 생각을 구체화하면 구체화할수록 내 마음이 좀 더 정리가 되고, 나름의 해결책이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나 자신과 대화를 나누어야 합니다. 짜증 난다는 감정이 솟구치면 잠시 멈추고 내 마음에게 '왜 짜증 나지? 무엇이 짜증 나지?'를 물어볼 수 있어야 합니다. 우울감이 들면 '왜 우울할까? 00 때문이구나.. 이럴 경우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니 내가 좋아하는 00 행동을 하며 생각을 비워야겠다'라고 대화하며 대체 행동으로 옮겨가야 합니다.


<예시 2>

아이가 말했습니다.

"엄마 싫어!"

👉 엄마의 특정 행동이 자신의 생각과 안 맞아 조금 속상한 것뿐인데, 정확한 표현을 몰라 다 싫다고 이야기하고 있음

✅️ 이럴 때 어른이 해야 할 반응은 (물론 마음이 살짝 상했지만 심호흡으로 달래고)

"그래? 엄마의 어떤 부분이 싫었어?"
"우리 차이가 어디가 불편할까?
"어떤 점이 바뀌면 차이 기분이 좋아질까?"

긍정적이고 구체적인 생각을 이끄는 질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아이가 이 말 뜻을 다 이해하고 '엄마 제가 생각이 짧았어요. 저는 이런 게 불편했고 이렇게 되면 기분이 좋아질 거 같아요' 이렇게 이야기 할리는 없지요. 하지만 이러한 질문은 아이가 좀 더 긍정적이고 구체적으로 자신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좀 더 큰다면 결국 자기가 자신에게 던지는 생각으로 내재화 시키게 되지요.


<예시 3>

배우자가 말했습니다

"요즘 회사 일이 하나도 풀리는 게 없어"

👉 회사 일이 하나도 안 풀린다는 것은 사실이 아닐 것입니다. 전체 중 일부가 안 풀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지요. 그리고 평소에는 잘 풀어갔을 것이고요.

✅️ 이럴 때 내가 하면 좋을 반응은 (물론 배우자가 부정적인 발언을 해서 나도 속상하지만)

"그렇구나, 기분이 안 좋겠네. 어떤 게 잘 안 풀리는 것 같아?"
"예전에도 한번 잘 안 풀린다고 힘들어한 적이 있는데, 그때 나름 잘 헤쳐나간 것 같았는데.. 이번에도 그럴 수 있지 않을까?" (배우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자원을 꺼내 상기시켜 줌)


🎁 연습해 볼까요? 애매모호한 우리 마음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풀어가봅시다.

  • 화나! 👉 내가 화나는 [구체적인] 이유가 무엇일까?

  • 쟤는 왜 저럴까 하, 답답해 👉 아이의 [어떤 행동]으로 내가 속상하다고 느끼는 걸까? 아이가 그렇게 행동하는 데는 [어떤 이유]가 있을까? 내가 [어떤 부분]을 다르게 해볼까? 

  • 배우자는 왜 저렇게 말할까? 👉 배우자의 [어떤] 말에서 내가 속상하다고 느꼈나? 나는 [왜 그 말에] 왜 화가 났을까? 배우자도 분명 000 상황으로 어려운 게 있구나. 내가 힘들 듯 당신도 힘들겠지. 다음번에는 내가 어떻게 말해주는 게 좋을까?


실행이 어렵다고 느낀다면, 딱 한 가지만 기억하세요. 

✅️ 부정적인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하자. 전체가 그럴 리는 없다. 무슨 부분이 문제인지 살피자.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작은 부분을 바라보자. 잘게 쪼개면 쪼갤 수록 더 효과적입니다.


🔍 여러분의 좋은 생각, 경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우리 함께 성장해요.🙌

Please Note
All content on Chai's Play is for all caregivers of children.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can vary from fathers, mothers, grandparents, and babysitters, depending on each family's situation. However, it is noted as 'Mom' for convenience in the content. This is not to imply that mothers should primarily raise children. Please understand this context.
Share with your loved ones.
Copy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