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 InSign UpMy Page
Parent Stories
가족에게 나는 화와 짜증, 어떻게 잘 다스릴 수 있을까?
Views 0
Share with your loved ones.
Copy URL
우리 모두는 아이를 키우며, 가족생활을 하며 여러 가지 감정을 경험합니다.

긍정적인 감정을 더 느꼈으면 하지만 부정적인 감정은 생각보다 자주 우리 삶을 파고들지요. 좋을 때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이 부정적인 감정을 내가, 네가, 우리가 어떻게 잘 다루는지가 삶의 평온과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지요.

잊을 법하면 꼭 찾아오는 이 부정적인 감정(화, 분노, 우울, 슬픔, 짜증, 두려움 등)을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조금은 더 잘 다스릴 수 있을까요?


1. 내 생각(관점)이 전부가 아님을, 다른 관점이 있음을 나에게 상기시킵니다.

내가 짜증 나는 이유는 내 생각대로 주변 사람과 상황이 움직이지 않아서입니다. 아이가 밥을 잘 안 먹어서, 배우자가 퇴근하고 빠릿하게 집안일을 도와줬으면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배우자의 말 한마디가 거슬려서 등등 무언가가 내가 생각했던 데로 진행이 안 되는 것이지요.

이때는 의도적으로 멈추어 서서 나에게 '내 생각과 다른'관점은 항상 존재하고, 이게 삶이라고 이야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 아이의 위가 작아서 혹은 내가 준 간식으로 배가 불러서, 미각이 예민해서 아이가 밥을 잘 못 먹을 수도 있습니다. (어른도 밥맛이 없을 때가 종종 있지요?)
  • 배우자가 회사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떨치고 동굴 속에 잠시 들어갔다가 나올 시간이 필요했을 수도 있습니다.
  • 배우자는 내가 해석한 그 의도로 말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내 관점만이 정답이라고 생각을 하면 내 삶은 더욱 힘들어지고 스트레스는 커져만 갑니다.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내 생각 이외 이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지, 이런 관점도 있겠지를 [노력해서라도] 떠올려보세요. 이렇게 심리적 유연성을 키우는 훈련을 하면 조금씩 하면 내 마음의 지평이 넓어짐을 느낍니다. 내 생각에 다른 사람 생각과 관점, 이런저런 상황이 있을 수 있음을 통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지요.

* 실전 연습 :
 [심호흡] 내 생각만이 정답이 아니야. 다른 관점이 있어. 아이의 관점, 배우자의 관점, 그 사람의 관점, 상황상 어쩔 수 없는 이유 등.. 내 생각에 다른 생각을 받아들이자. 삶은 여러 관점으로 구성되어 있어.



2. 내 짜증의 이유는 다른 데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생각해 봅니다.

아이의 행동에 화가 크게 났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화가 '많이' 났을 때는 아이의 행동이 100% 이유가 아닐 가능성이 높은 확률로 존재합니다. 이럴 때는 잠시 멈추어 서서 질문해야 합니다.

이렇게까지 화가 날만한 건가? 왜 이리 화가 나지? 다른 이유가 분명 있을 거야. 수면 부족, 배우자와 최근에 있던 말다툼, 예전 내 부모가 보여주었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하고 싶은 (감춰진) 욕구, 업무나 사회적 관계에서 안 풀리는 일, 무의식(과거 눌러둔 경험)이 갑자기 튀어나와서 등등..

그렇다면 아이의 행동이 100% 이유가 아닌데 이 화와 감정을 아이에게 그대로 쏟아내는 것은 아이와 관계 형성에 좋지 않습니다. 이때는 숨을 고르며 쉬어 갈 타이밍인 것이지요. 짧고 굵게 잘못된 행동만 언급하고 그 후 입을 다물어야 합니다. 후회할 말을 하지 않고, 일단 내 감정을 다스려야 합니다.

모든 인간관계에서도 이 사실 - 내 감정의 이유는 외부뿐 아니라 나에게 있다는 사실 -은 유효합니다. 내가 화가 많이 났다는 것은, 내 안에 분명 다른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상대방에게 온전히 책임을 다 물기는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가족생활을 하면서 계속해서 내 내면을 살펴보고 질문을 던져보고 해답을 찾아봐야 합니다.


3. 화는 내면 낼수록 그 강도가 커지고, 잘 갈무리할수록 더 잘 표현하는 습관이 형성됩니다.

신기하게도 화는 내면 낼수록 더 내고 싶고,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잔인한 말은 더 하게 됩니다. 그럴 때마다 가짜 만족감 - '시원함, 통렬함, 답답함을 해소한 기분'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화로 실제 해결할 수 있는 이슈는 많이 없음에도 불구하고요. 내가 화를 나면 상대방은 더 큰 화를 내서 더 큰 싸움으로 이어지거나(그렇게까지 될 게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혹은 상대방이 상처를 입고 입을 다물며 무의식으로 그 억울함을 밀어 넣게 되고 이는 추후 다른 안 좋은 방향으로 표출됩니다. (예, 아이의 이유를 알 수 없는 반항)

즉 화를 크게 내면 사실 나의 손해입니다. 화를 내면 내 육체는 부르르 떨리고 자율신경계가 과도하게 흥분되며 스트레스 호르몬이 솟구치고 나는 감정 조절이 잘 안되는 사람이라는 의식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반대로 노력해서라도 화를 조절하고 잘 흘러가게 하면 '어려운 순간이었는데 그래도 나름 잘 넘겼어.' '이렇게 생각하니 나름 효과가 있네'등 감정 조절이 되는 모습에 자존감이 조금씩 다져집니다. 나름의 유능감, 뿌듯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지요.

화를 무조건 참아야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감정은 꼭 잘 흘러가야 합니다. 관건은 폭발시킬 것이냐, 올바르게 잘 표현할 것이냐 여부이지요. 감정을 꽁꽁 가두었다가 화산 폭발로 이어지게 하지 말고 조금씩 흘려보내는 노하우를 쌓아야 합니다. 잠시 자리를 비켜 심호흡하기, 일기 쓰기, 나만의 스트레스 감소 노력 진행하기, 내 관점이 정답이 아니고 다른 관점이 있음을 상기시키기 등이 있겠지요.

감정 조절에는 '성공 경험' 쌓기가 중요합니다. 아주 작은 성공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아이가 나를 시험대로 올려놓을 때 심호흡을 하고, 아이와 진정 맺고 싶은 관계를 떠올리며, 아이 관점에서 상황을 다시 한번 들여다보는 것이지요.



4. 과거 안 좋은 경험으로부터 배움을 이끌어냅니다.

누구에게나 화를 폭발시켜 크게 한바탕 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렇게까지 될 만한 상황이 아니었는데 크게 번진 경험은 어느 집마다 한 번 이상은 있지요.

혹은 내 현재 가정이 아닌 내 부모가 보여준 모습을 떠올려 보는 것도 좋습니다. 내가 그때 얼마나 두렵고 힘들었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지요.

'그렇게 되지 않겠다'라는 마음의 기준점이 도움이 됩니다. 내 부모가 삶이 힘들어서 그런 모습을 나에게 보여주었지만 나는 그때 너무 힘들었고 나는 절대 그렇게 하지 않겠다. 혹은 과거 배우자와 크게 싸워 서로 안 좋고 아이에게도 안 좋은 기억을 심어준 것에 대한 반성을 하며 다시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각오를 하는 것이지요.

과거 경험은 '생생한 배움의 원천'입니다. 내가 어떻게 말을 했고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쳤기에 그렇게 되었는지, 내 부모가 어떤 식으로 대화를 했기에 그렇게 일이 전개되었는지, 내 부모가 나에게 어떤 말을 했기에 난 그렇게 상처를 받았는지를 담담하게 떠올려 보면서 지금 나는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지 기준을 생각해봅니다.

그리고 그때 배운 점을 내가 지금 실천할 수만 있다면, 이 역시 내 자존감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과거보다 나아지는 나, 발전하는 나를 뿌듯하게 보게 되며 새로운 정체성이 조금씩 더 다져지는 것이지요.


이 4가지의 방법 중 뭐니 뭐니 해도 가장 큰 도움이 될 포인트는 1번입니다. 다른 사람의 마음, 관점, 상황을 생각해 보는 것. 이렇게 생각해 볼 수도, 저렇게 생각해 볼 수도 있는 것이 삶의 자연스러운 모습임을 받아들이는 것. 나와 다른 너의 관점을 내 관점과 통합시켜 받아들이는 것. 어렵지만 이게 인생임을 받아들이는 것.

네가 왜 떼를 쓰는지, 상대방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일단 그 사람의 입장에서 곱씹어 보는 훈련을 한다면 - 내 감정 조절 / 내 자존감 다지기 / 우리 가족 행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여러분의 좋은 생각, 의견, 경험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우리 함께 토닥이며 성장해요.🖐

Please Note
All content on Chai's Play is for all caregivers of children. The main caregivers of children can vary from fathers, mothers, grandparents, and babysitters, depending on each family's situation. However, it is noted as 'Mom' for convenience in the content. This is not to imply that mothers should primarily raise children. Please understand this context.
Share with your loved ones.
Copy URL